귀농귀촌을 꿈꾼다면 정착 전 먼저 관련 일을 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일할 곳을 찾는다면 아래에서 농촌 일자리 구하기 | 구인구직 방법 | 인력중개사무소 | 시골 알바 찾기 | 일당 정보를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농촌 일자리 구하기
도시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일하고 싶다면, 농촌에서의 일자리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단기 일자리나 계절 근로를 찾는 이들도 농촌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농번기에는 일손 부족 문제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가 생기며,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농사 경험이 없더라도 가능하며, 숙식이 제공되는 경우도 많아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농촌 일자리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안내해드릴게요.
귀농 귀촌을 생각 중이라면 시골 빈집 매매 구하기 | 무료 무상임대 | 월세 가격 싼곳 찾기 | 빈집은행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농촌 일자리 구인구직
농촌 일자리 구인구직 할 수 있는 방법 5가지를 추천드립니다.
- 도농인력중개플랫폼 홈페이지 이용
- 농촌인력중개센터 일자리 문의
- 지자체 농촌일자리 플랫폼 확인
- ‘그린대로’ 사이트에서 일자리 구직
- 교차로,당근 등 지역 커뮤니티 활용
각 구인구직 방법 별 자세한 설명입니다.
1. 도농인력중개플랫폼 홈페이지 이용
도농인력중개플랫폼은 전국의 일자리와 농업 정보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도농인력중개플랫폼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일자리정보’에서 지역별로 농촌 일자리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맞춤일자리 및 외부연계 일자리 등 다양하며, 조경관리,농업단순노무,돼지사양관리,양돈농장,사과 배 등 과수원,목장 및 축산 등 다양한 곳에서 구인구직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귀농 귀촌에 관심이 있다면 귀농귀촌 지원금 종류 | 사용처 | 신청 자격 | 영농정착지원금 사업을 확인해 보세요.
2. 농촌인력중개센터 일자리 문의
직접 각 지역 농촌인력 중개센터를 통하여 일자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각 농촌지역마다 농협에서 농촌인력 중개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문의하여 일자리 등록 후 일손이 필요할 경우 근무 할 수 있습다.
형태는 도시형,공공계절 근로,중개 등이 있습니다.
내가 사는 지역의 농촌인력중개센터에 확인하여 전화 및 방문 문의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지자체 농촌일자리 플랫폼 확인
각 지역 도청 등에서는 농촌일자리 플랫폼을 이용하여 농촌 일자리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지역+농촌일자리’를 검색하면 농촌 일자리만 모아둔 게시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아래 사이트에 접속해 찾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4. ‘그린대로’ 사이트에서 일자리 구직
귀농귀촌 지원센터인 그린대로 사이트에서도 일자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귀농귀촌 지원 플랫폼 이므로 신청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종합정보에서 ‘일자리정보’메뉴로 이동 합니다.
맞춤정보 상세 검색을 통하여 상세 지역을 선택해 내가 사는 지역의 구인구직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5. 교차로,당근 등 지역 커뮤니티 활용
지역 일자리 구인구직 전문 플랫폼인 교차로, 벼룩시장을 통해 그 지역 농촌 일자리 검색을 추천하기도 합니다.
또는 당근 어플을 활용해 급하게 과수원 재배 등 급하게 사람을 구직 할 수도 있으므로 당근 앱을 설치해 구인구직 정보를 찾아보세요.
농가를 운영중이라면 농산물 시세 조회 방법 | 전망 변동 확인 | 농협 실시간을 확인해 보세요.
농촌 일자리 일당
농촌 일자리 일당은 업무 내용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으며, 숙련도에 따라 더 받을 수 있기도 합니다.
대부분 최저시급 기준으로 지급이 되며 숙소와 교통비 식대를 별도로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농촌 일자리 구하기 | 구인구직 방법 | 인력중개사무소 | 시골 알바 찾기 | 일당에 관하여 확인해 보았습니다.
위 방법으로 아래 전국 지역의 농촌일자리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경기도: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 성남시, 화성시, 남양주시, 부천시, 안산시, 안양시, 평택시, 시흥시, 파주시, 의정부시, 김포시, 광주시, 하남시, 군포시, 오산시, 이천시, 안성시, 의왕시, 여주시, 양평군, 동두천시, 과천시, 가평군, 연천군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증평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
- 충청남도: 천안시, 공주시, 보령시, 아산시, 서산시,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 전라북도: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정읍시,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
- 전라남도: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 영암군, 무안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 김천시, 안동시, 구미시,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문경시, 경산시,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예천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