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로 정부에서는 지원금 및 휴가 등 여러가지 출산 장려를 위한 지원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그 중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신청 방법 | 규정 | 기간 10일,20일 주말포함? | 분할 가능? | 남편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배우자 출산휴가
배우자 출산휴가는 아내가 출산을 하면 배우자인 남편에게도 주어지는 휴가 제도가 해당이 됩니다.
남녀고용평등법에 의거하여 근로자가 배우자 출산을 이유로 휴가를 요청한다면 출산휴가를 주도록 법적으로 규정 하고 있습니다.
산모가 출산을 하게 되면 주변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배우자가 출산 기간 동안 옆에 있으므로 의지가 될 수 있기도 합니다.
올해 출산지원금은 출산지원금 신청 방법 | 조건 | 전국 순위 | 출산장려금 정리 조회에서 확인해 보세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신청방법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는 고용보험법에 의거해 출산전휴휴가 급여로 배우자에게 지급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피보험자가 속한 사업장이 우선지원 대상기업인 경우에만 지급 됩니다.
배우자 출산 휴가 급여 신청 방법입니다.
- 속한 회사가 우선지원 대상 기업인지 확인
- 고용24 홈페이지 접속
- 개인-출산휴가,육아휴직-출산휴가-출산전후 휴가 급여 신청으로 이동
- 인증서로 로그인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이 외에도 회사에서 배우자 출산휴가를 이용한 근로자에게 통상임금을 지급하고 사업주가 대신 신청해 받을 수 있는 대위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육아휴직 급여 지원금 혜택 | 신청 방법 | 신청 조건 | 남자?에 관해 참고해 볼 수 있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2025년부터는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이 변경됩니다.
기존에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은 10일이었지만 10일 늘어나 총 20일간 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간동안 휴가 기간은 유급으로 해야 합니다.
만약 출산 전후휴가 급여등이 지급되었다면 그 금액 한도내에서 지급 책임을 면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은 배우자가 출산한 날부터 120이내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를 이유로 사업주는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불리한 처우를 해서는 안됩니다.
만일 육아로 인하여 퇴사할 경우 육아로 인한 퇴사 실업급여 신청 조건 | 육아 휴직 후 퇴사 | 육아 퇴사 확인서 | 고용보험 신청방법에 관해 추가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남편 출산휴가 분할
배우자 출산휴가는 기존에 1회에 한정해 나누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2025년부터는 3회에 나누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025년 2월 23일 부터 시행이 되므로 이후 출산 하신 분들의 남편이 해당 기업의 근로자라면 좀 더 여유롭게 출산 휴가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출산지원금은 출산지원금 신청 방법 | 조건 | 전국 순위 | 출산장려금 정리 조회에서 확인해 보세요.
Q.배우자 출산휴가는 주말도 포함인가요?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은 주말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주말 뿐만아니라 공휴일은 포함하지 않으며 유급휴가이므로 근로 의무가 없는 날은 제외 합니다.
이상으로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신청 방법 | 규정 | 기간 10일,20일 주말 포함? | 분할 가능? | 남편에 대해 확인해 보았습니다.